아산 초등학생 영어과외 용화동 풍기동 중학생 고등학생 수학과외 일대일 전문과외
아산 초등학생 영어과외 용화동 풍기동 중학생 고등학생 수학과외 일대일 전문과외
아산영어과외 아산수학과외 아산초등학생영어과외 아산중학생영어과외 아산고등학생영어과외 아산초등학생수학과외 아산중학생수학과외 아산고등학생수학과외 아산일대일과외 용화동영어과외 용화동수학과외 용화동초등학생영어과외 용화동중학생영어과외 용화동고등학생영어과외 용화동초등학생수학과외 용화동중학생수학과외 용화동고등학생수학과외 용화동일대일과외 풍기동영어과외 풍기동수학과외 풍기동초등학생영어과외 풍기동중학생영어과외 풍기동고등학생영어과외 풍기동초등학생수학과외 풍기동중학생수학과외 풍기동고등학생수학과외 풍기동일대일과외
1등급의 경우는 수학 영역 136점, 국어 영역 130점으로 6점의 점수 차를 보였고, 2등급의 경우에는 수학 영역 126점, 국어 영역 124점으로 2점의 점수 차를 보였으며, 3등급의 경우에는 수학 영역 118점, 국어 영역 117점으로 1점의 점수 차를 보였다
절대평가 9등급제로 시행되는 영어 영역의 응시자 비율은 3월 학평보다 약간 하락하였다 한국사 영역은 필수 영역으로 3월 학평과 마찬가지로 전체 응시자 모두가 응시했다 1%이었던 미적분 응시자 비율이 2023학년도 수능시험에서는 45 그렇다고 등급별 구분 표준점수에 있어서도 국어ㆍ수학 영역의 최고점처럼 25점의 점수 차를 보이지는 않았다 다만, 선택 과목별 응시자 수가 발표되어 사회탐구가 과학탐구보다 좀 더 많은 수험생이 응시했다는 것은 알 수 있다
4월 학평 채점 결과에서는 3월 학평과 마찬가지로 영역 및 선택 과목별 원점수 평균과 표준편차를 비롯해 9등급 등급 구분 표준점수와 점수대별 누적 인원 분포표도 함께 보여주고 있다
이에 영역별 성적 향상 정도 등을 파악하고자 할 때는 문제가 쉬웠다, 어려웠다에 따라 점수가 변화하는 원점수나 표준점수보다는 전체 응시자 중에서의 성적 위치를 보여주는 백분위로 파악하는 것이 좋다 3월 학평에서는 전체 응시자의 99 이러한 국어ㆍ수학 영역의 선택 과목별 응시자 수는 6월ㆍ9월 수능 모의평가와 11월 수능시험에서도 변동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탐구 영역은 통합으로 실시함에 따라 사회탐구를 몇 명이 응시했는지, 과학탐구를 몇 명이 응시했는지를 정확히 알 수는 없다 다만, 과학탐구에서 지구과학Ⅰ이 생명과학Ⅰ보다 좀 더 많이 응시해 순위가 바뀔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영역 및 과목별 백분위를 기준으로 앞으로의 성적 향상 목표는 물론 학습 계획 등을 세워 꾸준히 실천해 나가길 당부한다 그런데 이러한 채점 결과 자료만을 보고 어느 영역이 유리하고, 어느 영역이 불리하고를 단순하게 판단해서는 안 된다 이 중 표준점수는 난이도가 쉽게 출제되면 낮은 점수로 나오고, 난이도가 어렵게 출제되면 높은 점수로 나온다 8%(284,934명)가 응시했다 예컨대 최대 선택 과목의 응시자 수가 사회탐구에서는 생활과윤리가 94,087명이었고, 과학탐구에서는 생명과학Ⅰ이 89,091명이었기 때문이다 참고로 지난해의 경우 4월 학평에서 41 9%(308,404명)가 응시했는데, 이번 4월 학평에서는 전체 응시자의 99 이와 같은 탐구 영역의 과목 선택 순위는 6월ㆍ9월 수능 모의평가는 물론 11월 수능시험에서도 큰 변화 없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영역별 출제 난이도와 응시자 수 등에 따라 응시 영역과 선택 과목 간에 점수 차가 3월ㆍ4월ㆍ7월ㆍ10월 학평은 물론, 6월ㆍ9월 수능 모의평가와 11월 수능시험에서도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과학탐구 영역의 과목별 응시자 수는 생명과학Ⅰ > 지구과학Ⅰ 〉물리학Ⅰ > 화학Ⅰ > 생명과학Ⅱ > 지구과학Ⅱ > 물리학Ⅱ > 화학Ⅱ 순이었다 하지만, 4등급의 경우에는 국어 영역 108점, 수학 영역 106점으로 국어 영역이 2점 높은 점수 차를 보였고, 5등급의 경우에도 국어 영역 97점, 수학 영역 90점으로 국어 영역이 7점 높은 점수 차를 보였다
또한 수능시험 성적표에는 영어ㆍ한국사ㆍ제2외국어/한문 영역은 원점수에 따른 절대평가 9등급으로 표기되고, 나머지 영역이나 과목들은 상대평가에 따른 표준점수ㆍ백분위ㆍ등급이 표기된다 4%로 증가했다
사회탐구 영역의 과목별 응시자 수는 생활과윤리 > 사회문화 > 윤리와사상 > 한국지리 > 정치와법 > 세계지리 > 동아시아사 > 세계사 > 경제 순이었다 따라서 앞으로 응시 영역과 과목을 변경하고자 할 때에는 원점수가 높다는 이유만으로 변경하지 않았으면 한다 특히 수학 영역의 경우 미적분 응시자가 좀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3월 학평에서는 국어 영역 146점, 수학 영역 159점이었다
◆ 수학 영역 가장 어렵게 출제되어 최고점 162점 기록
선택 과목을 두고 있는 국어ㆍ수학 영역의 표준점수 최고점은 국어 영역 137점, 수학 영역 162점이었다